본문 바로가기
경제, 생활정보 등

주휴수당 지급조건 및 계산법 총정리(+계산기 링크첨부)

by 솔직한 사람 2023. 4. 26.
반응형

 근로자라면 한번 이상은 들어봤을 주휴수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자신의 근로계약이 주휴수당 지급 조건에 해당한다면 꼭 챙겨서 받으시기 바랍니다.

 

그리고 간단하게 계산도 해볼 수 있도록 하단에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지급받고 있는 금액도 한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

 


주휴수당 이란

 

주휴수당은 기본적으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한 사람에게 일주일 평균 1회 이상의 휴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  비정규직, 정규직, 아르바이트 등 근로 형태와 상관없이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적용대상에 해당합니다.

 

 

 

주휴수당은 4인 이하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. 그래서 근태를 담당하는 직원과 근로자 모두 주휴수당에 대해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사업자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법적 처분 혹은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 


주휴수당 조건

 근로기준법상에 근로자이어야 하며,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무일 수 와 시간을 잘 이행하고 개근을 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.  가장 중요한 것은 근무시간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이여야 합니다.

 

4주를 평균으로 하여 근로계약 당시에 1주간 일을 하기로 한 처음부터 계약된 시간에서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.  참고로 2022년에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어 계속적인 근로 예정조항은 삭제되었습니다.

 

 

 

 

  • 예를들어서 소정근로일이 월요일~금요일까지 인데 토요일에 퇴직을 했다면 주휴일이 일요일인 경우 주휴수당은 미발생하는 것입니다. 만약 일요일까지 근로관계가 유지되고 월요일에 퇴직을 해다면 주휴수당을 발생합니다.
  • 일용직 주휴수당의 경우는 공사기간이 따로 정해진 경우가 많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1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이라면 수당을 지급받기 힘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그러니 주 15시간이라는 주휴수의 조건을 잘 따져서 근무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.

주휴수당 계산법 및 계산기

 주휴수당은 1주일 임금에서 하루치를 평균하여 지급합니다. 그리고 주 40시간 이상 근로하냐 미만으로 근로하냐에 따라서 계산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.

  • 주 5일 근무, 하루 8시간 (= 40시간 이상 근무) : 8시간 x 최저시급
  • 40시간 미만일 경우 : 1주 근무시간/주 5일 x 최저시급

 

주휴수당을 계산하시는 게 조금 번거로우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간단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.

https://shiftee.io/campaign/weeklyPaidHolidayPayCalculator

 

주휴수당 계산기 | 시프티

알바 주휴수당 계산해보세요

shiftee.io

 


주휴수당을 못 받을 시

 국번 없이 1350번으로 신고하셔서 상담을 받으시거나, 노동청으로 신고하시면 됩니다. 위반신고는 사업장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023.04.26 - [경제] - 주휴수당 폐지 확정? 현재 진행상태 (+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문)

 

주휴수당 폐지 확정? 현재 진행상태 (+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문)

미래노동시장연구회(정부 자문기구)에서 최근 주휴수당에 관한 논쟁에 불을 지폈습니다. 주 52시간제 연장근로 기준 등에 관해 노동시장 개혁안을 제시했습니다. 앞으로 정말 주휴수당은 폐지

one.mming2.com

 

 

반응형

댓글